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입니다.
프리랜서, 자영업자, 부업을 하는 사람들부터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블로그를 통해 수익을 얻는 크리에이터들까지, 다양한 사람들에게 중요한 시기죠.
그리고 요즘은 비트코인 같은 **가상자산(코인)**으로 수익을 올리는 사람들도 많아지면서,
"나도 신고해야 하나?"라는 고민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부터, 유튜브·블로그·코인 수익 신고 여부까지 헷갈릴 수 있는 포인트를 쉽고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 종합소득세란?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1년 동안 벌어들인 다양한 소득을 종합해 신고하고 세금을 납부하는 제도예요.
예를 들어 아래 소득이 해당됩니다:
- 사업소득 (프리랜서, 자영업자)
- 근로소득 (연말정산 안 한 일용직 등)
- 임대소득 (부동산 임대료)
- 기타소득 (상금, 강연료, 원고료)
- 이자·배당소득
- 연금소득 등
📅 2025년 신고 일정
- 신고 기간: 2025년 5월 1일(목) ~ 5월 31일(토)
- 납부 기한: 5월 31일까지
신고는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 또는 모바일 ‘손택스’ 앱을 통해 간편하게 할 수 있어요.
👩💻 유튜브·블로그·인스타 수익도 신고 대상일까?
네, 맞습니다! 요즘 많은 분들이 온라인으로 수익을 얻고 있는데요, 다음과 같은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블로그 | 쿠팡파트너스, 애드센스 | ✅ 있음 | 기타소득 or 사업소득 |
유튜브 | 광고수익, 슈퍼챗, 협찬 | ✅ 있음 | 사업소득 |
인스타 | 협찬비, 링크광고, 콘텐츠 제작비 | ✅ 있음 | 사업소득 |
✔ 연간 300만 원을 초과한 수익이 있다면 반드시 신고 대상입니다.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수익이라면 사업소득으로 보고 사업자 등록이 권장되기도 해요.
💰 그럼 코인(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수익은 신고해야 할까?
아니요. 2025년에는 코인 수익을 종합소득세에 신고하지 않아도 됩니다.
📌 이유는?
정부는 원래 2025년부터 코인 수익에 세금을 부과할 예정이었지만,
2024년 12월 국회에서 과세 시점을 2027년으로 2년 추가 유예하기로 결정했어요.
✅ 요약하자면:
코인 수익 (2024년 발생) | ❌ 과세 아님 | X |
코인 수익 (2027년 발생) | ✅ 과세 대상 | 2028년 5월에 신고 |
유튜브/블로그 수익 (2024년 발생) | ✅ 과세 대상 | 2025년 5월에 신고 |
🔍 코인 과세, 나중에 어떻게 되나요?
- 과세 시작 시점: 2027년 1월 1일 이후 수익분
- 신고 시기: 2028년 5월 (기타소득 분리과세로 신고)
- 세율: 20% + 지방세 2% → 총 22%
- 공제 기준: 연 250만 원까지 비과세
- 과세 대상: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을 팔아서 얻은 순이익
※ 스테이킹, NFT, 에어드롭 등도 일부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절세를 위한 꿀팁
- 전자신고 하면 최대 2만 원 세액공제
- 경비는 반드시 증빙자료 확보 (영수증, 카드내역 등)
- 간편장부 대상자 확인하기
- 수입이 일정하다면 사업자 등록도 고려
- 코인 수익은 2026년 말까지는 세금 걱정 없이 준비 가능
🧾 결론
2025년 5월의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은 2024년에 발생한 모든 과세 소득입니다.
즉, 프리랜서 수익, 블로그·유튜브 광고 수익, 강연료 등은 반드시 신고해야 하며,
비트코인 수익은 아직 신고 대상이 아닙니다.
코인 과세는 2027년부터 적용되니, 그 전까지는 손익을 잘 정리하고 자료를 보관하는 것이 준비의 핵심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