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트럼프의 ‘깜짝’ 50% 관세 선언, 무엇이 달라지나?

    관세율 2배 인상 – 미국 수입 철강에 매기던 25% 관세를 50%로 두 배 인상, 6월 4일(현지시간) 시행 예고. 
    명분은 “국가안보” –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국가안보 보호’를 내세워 법적 저항 최소화. 
    니폰스틸-US스틸 딜과 연동 – 트럼프는 일본 니폰스틸의 140억 달러 투자(역대 최대 단일 철강 투자) 발표와 함께 “US Steel은 여전히 미국 기업으로 남을 것”이라고 강조. 

     

    철강관세 폭탄 관련 썸네일 사진

     

    니폰스틸 ‘블록버스터 협약’이 던진 파장

    • 트럼프는 “25% 관세는 허점(loophole)이 있었다”고 못 박으며, 50% 장벽으로 ‘관세 우회’를 원천봉쇄하겠다고 강조. 
    • 니폰스틸의 대미 투자는 신규 제철소 건설(최대 40억 달러)을 포함, 14개월 내 대규모 집행 예정. 

     

    한국산 철강, 美향 수출 비중은?

    • 2024년 한국 철강 수출 332억 달러 가운데 美 비중 13%. 국가별로는 네 번째 공급국(캐나다·멕시코·브라질 다음). 
    • S&P 글로벌은 “POSCO·현대제철의 미국 직수출은 한 자릿수 초반이지만, 단가가 높아 수익성 타격이 크다”고 분석. 

    관세 50%, 이 종목이 특히 흔들린다

    종목(티커) 美 수출 노출도* 관세 50% 리스크 대응 카드
    POSCO 홀딩스 (005490) Low (~4%) 高부가 후판·자동차강판 타격, 수익성↓ 친환경 고급강·印尼 제철소·리튬 등 신사업 다변화
    현대제철 (004020) Low (~5%) 모회사 (현대차) 미국 EV라인과 직결, 물류 비용↑ 루이지애나 新제철소로 ‘현지화’ 가속, 물량 이전 가능
    KG 스틸 (016380) Mid (~10%·증가세) 주력 ‘석도강판’ 관세 면제 쿼터 확보에도 추가 압력 쿼터면제 유지 및 미주 신규 고객 확대 
    동국제강 (001230) Low (<3%) 컬러강판·봉형강 위주, 직접 노출 제한적 멕시코 공장 활용한 우회 수출 가능성

    *노출도는 2024년 매출·회사공시·S&P 자료 종합. ‘Low’=5% 미만, ‘Mid’=5~10%.

    투자자 포인트: 단기 쇼크 vs. 장기 기회

    ① 단기 (3~6개월) – 관세 시행 직후 실적 컨센서스 하향, 주가 변동성 확대 예상. 원·달러 환율 상승 시 손실 일부 상쇄.
    ② 중기 (6~18개월) – 미국 내 설비투자(현대제철·POSCO JV 등)와 멕시코·동남아 우회 수출이 본격화될 경우 관세 충격 완화.
    ③ 리스크 요인 – EU·캐나다 등 추가 보복 관세, 美 경기 둔화에 따른 내수 철강가격 하락.
    ④ 기회 요소 – 그린스틸·친환경 고급강 필요로 美 자동차·풍력·태양광 설비 투자가 오히려 한국 고부가강판에 ‘프리미엄’ 부여 가능.

     

    결론 — ‘관세 50%’ 공포, 정보로 이겨내자!

    트럼프의 고율 관세는 협상 지렛대이자 정치 이벤트에 가깝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당장은 한국 철강주에 역풍이 거셀 수밖에 없지만, 이미 기업들은 현지화·고급화·친환경화로 방어막을 구축 중입니다. 투자자는 다음을 체크해 보세요.

    • 실적 발표 일정 – 2분기 가이던스에서 대미 수출량 전망이 조정되는지?
    • 현금흐름 & CAPEX – 해외 투자 확대가 재무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 환율과 철강 가격 지표 – 원화 약세·국제 HRC(열연코일) 가격 변화 추적.

    ※ 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용입니다. 투자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